본문 바로가기
도전

한국사의 이해(통일 신라와 발해)

by oncerun 2023. 1. 6.
반응형

통일 신라

 

1. 신라의 삼국통일 과정    

 - 나당 군사동맹

 - 나당연합군의 백제 공격(660, 소정방/김유신 - 계백 황산벌(논산) 전투), 사비성 함락, 당 웅진도독부 설치, 백제 부흥운동(복신/도침/흑치상지)

- 실패

- 고구려 연개소문 사후 권력다툼, 평양성 함락(668), 당 안동도호부 설치 후 저항으로 요동으로 이전, 고구려 부흥운동(검모잠/안승/고연무)

- 당은 신라를 계림주(鷄林州)라고 하며 지배 야욕

- 토번(吐蕃, 티베트, 669)과 당의 군사충돌로 소강상태

- 매소성(경기양주, 675), 기벌포(금강하구, 676)전투에서 당 축출, 삼국 통일 달성

 

 

지배체제

 

왕권강화

 - 무열왕 : 친당, 유교, 집사부 강화

 - 문무왕 : 진골귀족 숙청, 안승을 보덕국왕으로 책봉, 려제 유민 통합, 국왕중심의 관료제, 중앙집권적 통일 국가 지향

 - 신문왕 : 국학설립/6두품 등용, 9주5소경 설치, 관려전/녹봉지급

 

 

통치제제 

 - 중앙 : 국정총괄 집사부, 외 6부체제 -병부, 위화부, 창부, 예부, 이방부, 예작부, 공장부

 - 지방 : 9주, 5고셩

 - 군사 : 9서당 10정

 

 

유교와 불교

 

유교

왕권강화와 지배체제 정비를 위해 유교를 강조함. 설총, 강수, 김대문

국학 설립, 독서삼품과 시행

6두품의 한계 : 최치원 - 당 빈공과 합격, 계원필경, 시무10조

 

불교

불교의 대중화 : 원효의 정토신앙 모든 사상을 깊이 연구하여 서로상통하는 원리를 구현시킴

선종 : 지방호족의 호응을 받아 의상 화엄종, 대현 법상종 주도하였다.

 

 

대외관계

 

당, 발해와는 초기 적대적이었다가 관계가 개선되었다. 

일본에는 사신을 파견(문무왕)하여 지식과 문물을 전달

재당 신라방: 등주, 초주, 사주

청해진 대사 장보고 : 동아시아 중계무역 독점

 

통일신라 말기 사회혼란   

 

진골귀족 왕위다툼 발생, 김헌창의 반란, 장보고의 반란, 애장황/흥덕왕의 개혁조치 실패

호족 대두 : 지방세력으로 대규모 토지, 사병을 거느린 세력, 금입택/사절유택/안압지/임해전/포석정 등 귀족의 호화 생활

농민 봉기 : 원종과 애노, 기훤, 양길으로 발생한 봉기

후백재 : 견훤, 무진주를 습격, 완산주에서 건국

후 고구려 : 양길 휘화의 궁예가 독자세력 형성, 건국, 철원 천도, 마진/태봉으로 국호 변경

 

 

발해

 

당에 의해 고구려 유민 강제 이주, 영주, 걸걸중상과 대조영은 영주를 탈출하고 유민과 말갈족의 규학으로 진국 건국

당으로부터 발해군왕으로 책봉 : 발해

 

해동성국

무왕(719-737) , 문왕(737-793) : 지배체제 정비, 선왕(818-830) : 해동성국 - 최대 영토, 지방행정제도 완비

 

지배체제는 중앙은 성 6부 지방은 5경 15부 62주 군사는 10위

 

고구려를 계승 의식, 다민족 귀족문화, 불교, 유교, 활발한 외교관계를 맺음.

유적지로는 돌방무덤, 벽돌무덤이 있다.

 

거란의 침략으로 항복하여 멸망하였다.

 

 

[문제]

 

국읍에는 각기 한 사람을 세워 천신에 제사지내는 것을 주관하게 하고 이를 이름하여 천군이라 한다.

이는 삼한시대의 신앙이다.

 

계원필경, 빈공과 합격은 최치원이다.

 

 

통일신라의 하대의 사회에서는 반란과 권력 다툼이 잦앗고, 선종이 유행하였다.

권문세족(權門勢族) 또는 권문세가(權門勢家)는 고려 후기의 지배 계층으로

1270년 음력 5월부터 1388년 음력 6월 3일까지 주도권을 잡았던 친원 세력을 뜻한다

 

 

호족은 신라 말의 호화스러운 귀족이다. 답은 1번으로 친원 세력은 구려 후기의 지배계층이다.

반응형

'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의 이해 (조선)  (0) 2023.01.06
한국사의 이해 (고려)  (1) 2023.01.06
한국사의 이해(삼국)  (1) 2023.01.06
한국사의 이해 (고조선)  (1) 2023.01.06
한 달에 책 한 권  (0) 2023.01.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