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석기시대.
구석시 시대는 약 70만 년 전으로 관련 유적지로는 다음과 같다.
충북 단양금굴, 평남 상원 검은모루 동굴, 경기 연천 전곡리, 충남 공주 석장리, 덕천 승리산동굴, 평양 용곡동 동굴
유적지 특징으로는 동굴, 바위그늘에서 무리 생활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수렵, 채집, 불 사용을 하였고 뗀석기라 부르는 도구를 사용했다.
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긇개, 밀개, 골각기 등 돌을 활용한 도구를 사용했다.
[문제]
3번 반달돌칼은 구석기시대가 아닌 청동기시대의 유물이다.
간석기와 토기사용, 농경과 가축의 사육, 정착생활을 한 것은 신석기시대부터로 정답은 3번이다.
신석기시대.
B.C 8000년 ( 뜻은 예수 탄생 8000년 전이라고 하네요)
신석기시대에는 강가, 구릉에서 움집생활을 하였다. 농경, 목축의 정착생활을 하였습니다.
정착생활을 하기 때문에 식량의 저장이 필요했고 이 경우 빗살무늬토기, 덧무늬토기(융기문토기), 누른 무늬토기 등 토기 유물이 발견됩니다.
발견 유적지로는 제주 한경면 고산리, 부산 영동구 동삼동, 서울 암사동, 양양 오산리이다.
신석기에는 간석기로 돌괭이, 돌삽, 돌보습 등 돌을 갈아서 만든 유물이 발견된다.
모계 기반의 씨족 공동체 사회를 구성하였고, 물물교환을 하였다.
해당 시기에 원시신앙이 발생했고 이를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영혼/조상 숭배를 하였다.
[문제]
청동기 시대.
BC 2000년이며,
예맥족이라고 고대 한반도와 중국의 동북부에 살던 민족으로, 현대 한민족의 근간이 되는 종족 중의 하나
청동기 시대 유명한 유물로는 비파형 동검, 세형동검, 민무늬토기, 반달돌칼 등이 있다.
말 그대로 철을 제련하였다.
농기구는 아직 석제도구를 사용했지만 일부 지역에서 벼농사를 시작했다.
즉 작물을 재배했다. 신석기의 농경은 (피, 조)이다. 추가적으로 지상가옥이 존재했다.
울산 반구대 암각화, 고령 바위그림 기하무늬도 특징이다. 부계 주도로 세력이 존재했고
농업 생산력의 발달로 사유재산이 존재했고 빈부격차, 지배계급이 발생했다.
이를 증명하는 대표적인 유물로는 고인돌이 있다.
고조선
BC 7C,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고대 국가가 탄생했다.
잘 알려진 단군신화이며 환웅 + 곰, 천신(이주민)과 지모신의 결합을 상징한다.
고려의 삼국유사, 제왕운기에서도 엿볼 수 있다.
제정일치를 하였다. 제정일치란 제사와 정치가 일치한다는 사상으로 단군(제사장) + 왕검(추장)
토기 유물로는 미송리식 토기가 존재한다.
이 시대의 중국 연과 요하를 경계로 대립하였고, 연의 침략으로 한반도로 이주하였다.
이때 발생된 이주민과 토착민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이주민을 통하여 철이 유입되었다.
위만조선
위만조선은 중국 진, 한 교체기의 연왕 노관이 모반하여 흉노로 달아나자 연의 위만은 1,000여 명의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망명하였다.
BC 194 한 침입을 구실로 왕검성에 들어가 준왕을 몰아내고 정권을 차지하였다.
일정한 세력집단의 대표인 박사, 대부, 상, 대신, 장군, 비왕들의 귀족회의가 존재했다.
무역을 시작하였는데, 중계무역으로 한, 예, 진을 상대로 하였다.
고조선의 법
[문제]
한서 지리지에는 3가지 조항만을 전한다.
① 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에 처한다.
② 남에게 상해를 입힌 자는 곡물로써 배상한다
③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데려다 노비로 삼으며, 속죄하고자 하는 자는 1인당 50만 전(錢)을 내야 한다는 것 등이다.
정답은 4번으로 한사군 설치와 8조 금법의 연관관계는 없어 보인다.
고조선의 멸망, 한사군 설치
한 무제의 침략으로 인해 왕검성이 함락당했다 이는 BC 109~108에 발생했다.
이후 한사군이 설치되었고, 낙랑, 진번, 임둔, 현도 4개의 군-현을 설치하고 태수와 현령을 파견하여 통치했다.
▶ 한사군
한 무제가 위만 조선을 멸망시킨 후에 「 낙랑, 진번, 임둔, 현도 」의 4군을 두고 직접 관리를 파견하여 지배하던 곳
이주, 범죄 증가, 범금 확대 하면서 토착 주민의 반발로 사군현 이동, 폐지되었다.
[문제]
가, 나로 실제 고대 고조선, 부여, 고구려, 가야에도 이러한 풍습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가장 활발한 했던 나라가 대가야였다.
부여와 삼한
부여
- 길림성 쏭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철기 문화
- 정치 : 왕, 대가 (마가, 우가, 저가, 구가)로 전국을 4 등분한 사출도를 지배
- 선비족 모용 외의 침략으로 쇠퇴(285), 전연 모용황에게 멸망(346), 복옥저 지역의 동부여 고구려에 병합(494)
삼한
- 한반도 중남부의 연맹왕국인 마한, 변한, 진한을 통합하는 말, 진국에서 기원됨.
- 78개의 국으로 구성됨.
- 이후 마한의 백제국, 변한의 구야국(가야), 진한의 사로국 (신라)가 되었다는 설이 일반적
- 제정 분리 : 제사장 - 천군, 족장 - 신지, 험측, 번예, 살해, 견지, 읍차
- 철제농기구, 농업생산력 발달
- 5,10월에 제천행사.
'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의 이해(통일 신라와 발해) (1) | 2023.01.06 |
---|---|
한국사의 이해(삼국) (1) | 2023.01.06 |
한 달에 책 한 권 (0) | 2023.01.01 |
컴퓨터의 이해 정보 통신 부분 정리 (0) | 2022.12.28 |
보조기억장치 (0) | 2022.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