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전

컴퓨터의 이해 정보 통신 부분 정리

by oncerun 2022. 12. 28.
반응형

정보통신 역사

 

Semi-Automatic Ground Environment 

SAGE이라고 하며 컴퓨터와 통신을 결합시킨 최초의 컴퓨터 통신 시스템

 

Semi-Automatic Business Research Environment

SABRE로 하며 American Airline사의 여객기 좌석 예약 업무 처리

 

ARPA ( 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Internet의 전신이다.  TCP/IP로 개발하였음 패킷 교환 네트워크이다.

미국 국방성 산하의 조직에서 만든 네트워크이다.

 

ALOHA (Additive Links Online Hawaii Area)

하와이 대학에서 실험적으로 무선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만들었다.

 

1970년대에 상용화되면서 telenet, tymnet이 나왔다.

 

 

점대점 선로와 멀티드롭 선로

 

점대점 선로의 예로는 성형 네트워크가 존재한다. 중앙집중형에 각각의 노드가 점대점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멀티드롭 선로는 중앙단말기에 여러 가지 회선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선로마다 노드들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선로를 연결된 노드에게 공유하는 구조이다.

 

네트워크 연결장치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거나 네트워크를 인터넷에 연결시키기 위한 통신장치이다.

 

종류로는 다음과 같다.

 

1. Modem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해주는 장치

2. NIC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3. Hub

 허브는 하나의 노드에서 수신한 신호를 정확히 재생하여 다른 노드로 전송하는 장치

여러 노드에 전송하면 더미허브라고 하고 그중 하나의 노드에만 보내면 스위칭 허브라 고한다. 

4.Repeater

 긴 거리의 통신에서는 신호가 약해지는데 이러한 신호를 새로 재생시키거나 출력 전압을 높여주는 장치

5.Bridge

복수개의 LAN을 연결하는 장치 서로의 LAN환경을 서로 연결해줄 수 있다.

6 Router

IP 네트워크 간의 연결 또는 IP 네트워크와 인터넷 간의 연결하기 위한 장치

7 Gateway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데이터 전송방식

 

전송방향에 따른 전송방식을 나누면 단향식, 반이중식, 전 이중식이 있다.

 

데이터 교환 방식

 

컴퓨터의 존재 유무로 시작된다.

 

컴퓨터가 없는 시대에는 회선교환 방식, 컴퓨터가 존재할 때는 축적교환 방식이 있다.

 

회선교환 방식은 연결지향형 전송이다. 이를 위해 연결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하고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이 존재한다.

 

축적 교환에는 메시지 교환방식과 패킷교환 방식이 존재. 

 

메시지 교환 방식은 망 안의 노드들이 저장장치가 존재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전송된 데이터를 노드마다 저장하고 다음 위치를 결정해 보내는 방식으로 매우 비효율적이다.

 

패킷교환 방식은 현재까지 사용하는 방식으로  메시지를 패킷단위로 잘라서 패킷마다 헤더부를 붙여서 전송한다. 

헤더부에는 목적지, 수신지, 순서.. 등등을 지정한다. 

 

패킷 교환 방식에서 가상 회선 패킷교환은 기존의 회선교환 방식과 이론상 비슷하다. 

 

이미 연결라인을 가상으로 구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연결을 해제한다.

 

반대로 데이터그램 패킷교환은 비연결형 전송이다. 

현재 상황에 맞춰 트래픽이 적은 노드에 패킷들을 무작위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목적지에서는 해당 순서를 맞춰 재조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반응형

'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의 이해 (고조선)  (1) 2023.01.06
한 달에 책 한 권  (0) 2023.01.01
보조기억장치  (0) 2022.12.27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0) 2022.12.25
유비쿼터스컴퓨팅 개론 오답노트(3)  (0) 2022.12.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