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전57

레지스터와 카운터(1) 레지스터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장치이다. 플립플롭을 여러 개를 연결되어 있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CPU 안에 잠시 연산결과를 저장하는 저장소자로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n 비트 레지스터는 n 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되며 n 비트의 2진 정보를 저장한다. 결국 레지스터는 여러 비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배열된 비트를 좌, 우로 자리이동을 시키는 데 사용된다. 레지스터의 기본 형태 데이터 적재 레지스터 입력된 데이터를 그대로 기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레지스터로, 이 경우 D 플립플롭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직렬 데이터 적재 레지스터. 예를 들어 4개의 F/F으로 구성한다면 4비트를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직렬적재 방식은 직렬로 입력이되고 직렬로 출력을 하는 레지스터다. 데이터를 .. 2023. 3. 26.
순서논리회로 (3) 2023.03.14 - [도전] - 순서논리회로 (2) 순서논리회로 (2) 순서논리회로의 분석 순서논리회로의 동작은 입출력 상태와 플립플롭의 상태에 따라 결정이 된다. 플립플롭의 상태와 입출력 상태의 시간적 변화를 적절히 나타내야 한다. 이를 통해 state table chinggin.tistory.com 설계과정 1. 설계명세로부터 F/F의 종류와 개수를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상태표를 작성한다. 이를 위해선 상태도를 참고한다. 이후 플립플롭을 결정한다. F/F의 개수를 결정 - F/F의 개수는 순서논리회로 내의 상태수로 결정한다. - 2^n개의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n 개의 F/F 가 필요하다. 예) 1) 4개의 상태가 존재하므로 두 개의 F/F이 필요하다 2) D(T) F/F : 기호 하나만 할.. 2023. 3. 20.
순서논리회로 (2) 순서논리회로의 분석 순서논리회로의 동작은 입출력 상태와 플립플롭의 상태에 따라 결정이 된다. 플립플롭의 상태와 입출력 상태의 시간적 변화를 적절히 나타내야 한다. 이를 통해 state table을 완성해야 한다. 조합논리회로를 통해 진리표를 나타낸 것과 비슷하게 순서논리회로는 상태 표로 나타낼 수 있다. 우선 순서논리회로에 있는 플립플롭의 상태변화를 알아야 한다. 플립플롭의 상태변화는 플립플롭의 입력을 알면 구할 수 있다. 이를 입력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플립플롭의 입력으로는 조합논리회로의 출력이 연결된다. 따라서 조합논리회로의 출력함수가 플립플롭의 입력함수가 되고, 이를 플립플롭의 입력방정식이라고 정의한다. 이를 통해 상태표를 한 번 작성해 보자. 현재상태 입력 다음상태 출력 A B X A B Y.. 2023. 3. 14.
CPM 네트워크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3. 13.
DevOps 소프트웨어 개발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3. 13.
순서논리회로 (1) 조합논리회로는 현재 시간의 입력에 의해 출력이 결정된다. 이러한 조합논리회로에 저장요소를 추가한 회로를 보통 순서논리회로라고 한다. 저장요소에 따라 순서논리회로, 조합논리회로를 구분한다. 외부로부터 2진 정보를 전달받고, 이 외부로부터의 입력은 저장요소에 저장된 현재 상태와 함께 출력의 2진 값을 결정한다. 이러한 순서논리회로는 비동기와 동기로 나눌 수 있다. 비동기 순서논리회로는 시간지연소자를 사용한다. 시간지연소자는 신호가 전달되려면 일정한 시간이 걸리므로 기억능력을 가지게 된다. 비동기 순서논리회로는 논리게이트로 구성되는 시간지연소자는 게이트 간의 피드백 때문에 예측 못한 상태로 동작하거나, 불안정한 상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동기 순서논리회로는 특정 순간에서만 저장요소를.. 2023. 3. 7.
조합논리회로 (2) MSI를 이용한 조합논리회로를 알아본다. 디코더. 디코더는 부호화된 입력을 받아서 부호화되지 않은 출력을 내보내는 복호화기라고 한다. 인코더는 10진 신호를 2진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부호화기라고 한다. 디코더는 n 비트의 2진 코드를 최대 $$ 2^n $$개의 서로 다른 정보로 바꾸어주는 조합논리회로라고 할 수 있다. 즉 n개의 입력이 오면 $$ 2^n $$ 출력이 존재한다. 이를 보통 n X m 디코더라고 한다. 예를 들어 2 X 4 디코더를 예를 들자. 블록도. 진리표 출력으로 하나의 출력 값만 1을 가지고 나머지는 0을 갖는다. 내부회로도 회로도를 부울함수로 나타내면 최소항으로 표현할 수 있다. 결국 출력은 입력의 최소항을 의미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디코드를 확장하기 위해선 작은 디코더를 .. 2023. 3. 6.
패리티 발생기/검사기 논리회로도 2진 정보를 주고받다 보면 잡음이나 회로상의 문제 등 다양한 이유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에러 검출을 위해 전송되는 정보에 에러 검출용 비트를 추가해 전송한다. 이때 송신자는 패리티 비트를 추가해서 전송하고 수신자는 패리티 검사기를 통해 검사하여 에러 여부를 확인한다. 패리티 비트는 에러 검출용 비트라고 생각하자. 방식은 두 가지가 존재하지만 홀수 패리티검출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이는 2진 정보 속에 1의 개수가 패리티 비를 포함하여 홀수가 되도록 패리티 비트를 부가하는 방식이다. 홀수 방식인 경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0진수 BCD 코드 패리티 비트 0 0000 1 1 0001 0 2 0010 0 3 0011 1 4 0100 0 5 0101 1 6 0110 1 7 0111 0 8.. 2023. 2. 27.
BCD- 3초과 코드변환기 code converter는 하나의 2진 코드를 다른 2진 코드로 바꾸어 주는 조합논리회로를 의미한다. 예시로 BCD-3 초과 코드변환기, BCD-9 보수변환기 등이 있다. BCD- 3 초과 코드변환기 이는 BCD 코드와 3-초과 코드는 4비트를 이용하여 10진수 표현한다. 4 비트면 16개의 2진 조합이지만 나머지 6개는 무관조건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변환회로는 4개의 입력과 4개의 출력이 필요로 하다는 전제로 이해해 보자. 우선 BCD-3 초과 코드변환기를 설계해 보자. 10진수 10~15는 무관조건처리한다. 3 초과라는 뜻은 십진숫자에 3을 더한 결과를 표현한다. BCD 코드 출력 3-초과 코드 10진숫자 A B C D W X Y Z 0 0 0 0 0 0 0 1 1 다음 표와 같이 십진수 0에 대해.. 2023. 2. 27.
조합논리회로(1)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