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로 선언(1943.11) : 미/영/중, 1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이 약탈한 영토 반환을 요구하여 한국을 자유독립국가로 승인 결의한다.
포츠담 선언(1945.7) 미/영/중/소,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일본에 대한 처리문제, 일본에 항복을 경고한다.
미국은 히로시마, 나가시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였고 소련은 대일선전포고/만주폭풍작전을 성공시킨다.
1945.8.15일 일왕 히로히토 덴노가 항복을 선언하면서 조선은 해방된다.
조선건국 준비위원회
건국동맹을 기반, 여운형, 안재홍, 항일 공산주의자들과 조직, 조선인민공화국 수립을 추진한다.
여운형은 철수전 조선인 학살 및 친일파 처단 명목으로 사회혼란 방지를 위해 일본인들의 치안권/행정권 권한 이양을 수락한다.
한국민주당은 송진우/김성수, 지주/자본가/친일 반민족자, 미군정에 협조, 이승만 지지와 보수우익이다.
당으로는 독립촉성중앙협의회, 한국독립당, 조선공산당, 국민당이 있다.
미/소의 남북한 분할점령과 군정.
미국은 즉시 독립보다 신탁통치를 추구하였다. 이는 친미 반공국가 설립을 목표로 했다.
북위 38선을 경계로 미/소 양군의 한반도 분할점령과 일본군 무장해제를 제안했고 소련은 수용했다.
미국은 미군정만을 유일한 정부로 간주하고, 조선인민공화국, 지방인민위원회를 해체한다.
소련은 지방인민위원회를 좌우연립 형태로 구성하여 소련에 우호적인 권력을 강화한다.
이후 1946.2 김일성을 주축으로 한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를 결성한다.
이후 모스크바삼상회의 결정 안에서 신탁통치안을 발표하고 좌익과 우익의 찬반 대립이 이어진다.
한국전쟁
김일성의 국토완정론(1949.1), 이승만 북진통일혼(1949.2)
중도파/소장파는 주한 미군철수를 요구, 평화통일, 반민족행위처벌법, 농지개혁법을 주장한다.
이승만 정권의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를 습격, 국회프락치 사건 조작, 김구 암살을 통해 극우반공 체제를 강화한다.
북한은 남한 빨치산투쟁을 지원, 소련/중국과 협정을 통해 군사력 강화/ 전쟁을 승인받는다.
애치슨 라인 선언(1950.1.12) 미국의 동북아시아 방위선 발표
38선 부근에서 잦은 국지전이 발생한다. 북한군 10개의 사단 병력이 남한을 침투한다. 이를 한국전쟁((6.25)이다.
3일 만에 서울이 점령되고, 한 달 만에 낙동강까지 남하한다.
미국은 유엔안정보장이사회 결의(6.27), 16개국의 유엔군이 참전한다. 9.15에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하면서 서울을 회복한다.
중국은 항미원조를 명분으로 참전(1950.10), 38선을 사이로 공방전을 지속한다.
1951.7, 미/북/중 휴전회담을 갖는다. 군사분계선을 설정하고 중립국감시기구를 구성, 포로교환을 한다.
1953.3 스탈린의 사망한다. 이후 정전협정을 체결한다.
이 전쟁은 남북한 인명피해가 약 300만 명이며, 제조업 파괴, 민간인 학살 등의 상처로, 반공 이데올로기가 강화된다.
[문제]
좌우합작운동은 1946년 7월부터 1년여간 좌익과 우익이 합작을 통해 연대를 추진하여 한반도의 남북통일 임시정부 수립을 목표로 하였던 운동을 말한다.
1946년부터 좌우합작운동을 주도했던 여운형은 1947년 7월19일 낮 서울 혜화동 로터리에서 극우 테러범에 의해 피살됐다.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과, 여운형이 암살당하면서 막을 내린다.
4·3이라는 명칭은 1948년 4월 3일에 발생했던 대규모 소요사태에서 유래하였다. 그날남조선노동당 제주도당에서 대한민국 정부 수립(5.10 총선)을 방해하기 위해 무장대를 조직, 경찰서 기습을 감행하는 등 반란을 일으켰고, 이 일은 훗날 제주 4·3 사건이라고 불린다.
'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회로 사이트 (0) | 2023.02.21 |
---|---|
디지털 논리 회로 사전 지식 (0) | 2023.02.20 |
한국사의 이해 ( 침략과 일제의 한국 강점) (1) | 2023.01.07 |
한국사의 이해 (조선) (0) | 2023.01.06 |
한국사의 이해 (고려) (1) | 2023.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