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향성

1월 7일 시험 끝나고 진행할 것

by oncerun 2022. 12. 30.
반응형

 

1. DDD 책 읽은 것 정리 후에 밸류 객체 활용하는 여러 가지 JPA 기술 적용하기

 

1. AttributeConverter

 

2. @Embedded, @Embeddable 로 현재 프로젝트에서 벨류 객체로 표현하는 프로퍼티들을 추상화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 가능하다면 적용시키기.

 

3. 밸류 객체로 표현하는 방법과 해당 객체를 엔티티로 승격시켜 사용할 때 차이점과 장점을 정리하여 최종적으로 프로젝트로 적용하기.

 

4. 벨류 객체를 컬렉션으로 사용했을 때 한계점과 그에 따른 성능 병목지점 확인하여 엔티티, 밸류 선택하는 팁.

 

5. 벨류 컬랙션을 사용할 때 적용하는 방법 정리해보기. 

 @ElemnetCollection, @CollectionTable, @JoinColumns , @JoinColumn, @OrderColumn 

 

6. AttributeConverter을 사용해서 벨류 객체의 프로퍼티를 하나의 칼럼의 매핑하는 방법과, 컬렉션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하나의 칼럼으로 매핑하기 위해 별도의 타입을 정의한 이후 적용하기. 

 

이를 프로퍼티 레벨에서 적용하는 방법과 @Converter 어노테이션으로 적용하는 방법의 차이 알기

 

7. 캐시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cache

 

최근 성능 개선을 위해 급하게 캐시를 도입했다. 별도의 레디스와 같은 외부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고 로컬 캐쉬를 이용하도록 했는데, 스프링 AOP를 통해 캐시가 어떻게 관리되고 어떠한 구현체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실제 캐시를 효율적으로 적용하고 만료시키는 방법을 알아내서 코드 리팩토링 진행하기. 

 

8. 최근 GC 튜닝을 진행했다.

 

그중 G1 GC의 동작원리에 대해서 정리하고, 튜닝에 사용할 수 있는 옵션들과 적용했던 옵션과 과정을 정리한다.

 

9. 튜닝을 위한 모니터링

 

mat를 이용해 메모리 덤프를 떠서 분석하는 과정과, jstat을 이용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분석과정, gc로그를 남기도록 하여 튜닝의 뼈대가되는 분석과정을 정리

 

 

시험 끝난 이후 진행해야 할 것들!

반응형

'방향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중순 정리.  (0) 2023.02.18
2023년 1월 중간점검  (0) 2023.01.18
Just keep going  (1) 2022.12.19
다섯 걸음  (0) 2022.11.26
2023년을 준비하며  (0) 2022.11.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