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전

스크럼이 뭐야?

by oncerun 2023. 7. 12.
반응형

 

어느 개발 조직은 스크럼을 매일 진행한다고 한다. 스크럼이 뭘까?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인 스크럼을 말하는 것일까?

 

방법론적인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스크럼은 팀 기반의 프로젝트 관리 접근 방식이라고 한다. 

 

스크럼은 개발 프로세스를 반복적이고 적응적으로 진행하는 데 초점을 두며,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한다고 한다.

 

소비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빠른 배포를 위한 하나의 개발 방법론인가요?

 

스크럼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고 합니다. 

 

1. Product Backlog

 

개발해야 할 모든 작업 항목을 우선순위에 따라 나열한 목록입니다. 제품의 백로그는 제품의 요구 사항과 기능을 기술해야 합니다. 

 

음. 이번 팀프로젝트에서 진행되어야할 리스트업이 있다고 했는데, 그게 제품의 백로그를 이야기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는 PM 혹은 기획자, 소비자들이 만들어가는 요구 사항 및 기능일 것입니다. 

 

2. Sprint

 

스프린트라고 하는데, 이는 일정 기간 동안 진행되는 개발 작업의 단위를 말합니다. 

1~4주 정도의  기간으로 구성되며, 스프린트 중에는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품 백로그 항목을 선택하고 개발 작업을 진행합니다. 

 

3. Daily Scrum

 

일일 스크럼으로 팀 구성원들이 매일 정해진 시간에 모여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다음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미팅입니다.

 

팀원들은 자신의 진행 상황과 어려움을 공유하고 작업의 중복이나 연계성을 확인하여 효율적인 협업을 도모한다고 합니다.

 

데일리 스크럼이 이런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매우 좋은 미팅인 것 같습니다.  문제를 풀지 못하여 막혀있을 때 하루 하루 진행 상황 및 어려움을 공유하면 팀원들의 도움을 받아 해결할 수 있고 그 과정을 통해 새로운 생각을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전체적으로 스크럼은 팀의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을 중요시 하는 것 같습니다. 

 

제가 일했던 대부분의 개발팀은 자신의 작업 상황을 숨기기 바뻣던 것 같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숨김은 협업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기도 했습니다.  꼭 배포나 머지와 같은 상황에서요. 

 

투명하게 공유하며, 공유하기 때문에 자극도 되고 매우 좋은 미팅이였습니다.

 

 

아. 정리하면 스크럼은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이며 소비자의 빠른 요구 사항에 대응하기 위한 프로세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팀과의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입니다.

 

반응형

'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 테스트, 코드 리뷰, 인터뷰 피할 수 없으면 즐겨  (0) 2023.07.12
Hibernate Architecture  (0) 2023.07.08
Video Protocol  (0) 2023.06.29
개발 용어  (0) 2023.06.26
SPF? DKIM? DMARC?  (0) 2023.06.15

댓글